김영한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김영한님) 해당 강의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해당 강의를 통해서 interface가 왜 쓰였고 DI를 통해서 스프링이 ocp(확장에 대해서는 개방(OPEN)되어야 하지만 변경에 대해서는 폐쇄(CLOSE))를 구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서 객체지향이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코드의 재활용성만이 아니라 변경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해서 쉽게 알 수 있어서 추천하는 강의입니다. 더보기 김영한님의 스프링커리큘럼 총평 우선 각 스프링커리큘럼강의들의 후기를 작성하기 전에 총평이 먼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로인해 이러한 글을 적습니다. 현재 필자는 김영한님의 스프링커리큘럼을 순서 대로 듣고 있고 그중 mvc2편을 듣고 있는 중입니다 우선 커리큘럼의 처음에 해당하는 되는 강의만빼고 유료이기 때문에 상당히 부담이 된다는 면이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인프런 1타강사라는 자타공인의 명성에 걸맞추어서 상당히 강의의 질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어떤점에서 강의의 질의 좋다고 생각하느냐면 우선 쉽게 가르치면서 상당히 스프링의 깊은 부분까지 설명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과정에서 단지 스프링만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서블릿에서 부터의 설명을 해주시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지만 강의시간이 좀 길다는 트레이.. 더보기 김영한님의 스프링강의후기 1(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영한님의 스프링의 커리큘럼의 첫번째 강의로 스프링에 관해서 대략의 큰그림을 볼 수 있는 강의입니다. 본격적인 스프링 이론에 앞서 스프링의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 강의이며 이후에 해당 강의의 내용은 커리큘럼 뒤에 있는 강의에 다시 언급이 되기 때문에 영한님의 스프링 커리큘럼을 따라가신다면 스프링을 알고 있더라도 배속으로라도 듣는것을 권장합니다. (참고로 현재 저는 영한님의 jpa강의를 다듣고 스프링 커리큘럼은 mvc1활용까지 들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해당 진도를 진행한 상황에서의 강의후기를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